자료실 타이틀
동영상자료실
    eca3G 동영상
    낙뢰모의시험 영상
기술자료실
PGS 뉴스레터/기술
    지난 자료
    컨텐츠
뇌전자료실
관련 법규
전기용어사전
PGS접지설계프로그램
책임배상 보증시스템
무료진단 컨설팅
그라운드 카다로그
 
처음화면 > 자료실 > 전기 용어 사전
 

▶4단자망[四端子網] (Four-terminal network)

① 1쌍(2개)의 입력단자와 1쌍의 출력단자로 되어 있는 회로망. ② 2개의 입력단자로부터 전기에너지가 들어오고, 다른 두 개의 단자로부터 출력이 취출되는 회로망.


▶4단자정수[四端子定數] (Constants of four terminal network; Four terminal constants; Four-terminal network constant)

사단자망의 기초방정식에 사용되는 네 개의 정수. 사단자망에 있어서 출력측 개방시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 A 및 입력전류와 출력전압의 비 C와 출력측단락시의 입력전압과 출력전류의 비 B와 입력전류와 출력전력의 비 D의 4개는 각단자망에 결정된 정수로 이 A,B,C,D를 사단자정수라 한다. 그리고 A,B,C,D 사이에 AD=BC=1이란 관계가 있다.


▶산란파[散亂波] (Scattered wave)

전리층(電離層) 또는 대기권(大氣圈)내에서 산란되어 전파되는 전자파를 말한다. 도약거리(跳躍距離)내의 지점에서는 공간파(空間波)가 전혀 들리지 않을 것이나 실제로는 전리층의 작용으로 적은 하강파(下降波)가 생기고 이것에 의하여 수신될 때가 있다. 이 전리층에 있어서의 용을 산란이라고 부르며 이것에 의하여 생긴 하강파를 산란파라고 한다.


▶삼각함수[三角函數] (Trigonometrical function)

정현(正弦)(sin), 여현(餘弦)(cos), 정절(正切(tan), 여절(餘切)(cot), 정할(正割)(sec), 여할(餘割)(cosec)인 6개를 한수로 조립된 것으로 변과 변, 변과 각의 관계를 정한 것.


▶삼상교류[三相交流]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삼상 기전력에 의해 흐르는 교류로 위상이 120°씩 다른 각속도가 같은 3개의 정현파 교류가 같이 흐르고 있는 교류.


▶삼상사선식[三相四線式] (Three-phase four wire system)

3상전력의 송전에서 1선을 지선으로 하므로 4본 전부를 송전한다는 송전방식.


▶삼상삼선식[三相三線式] (Three-phase three wire system)

보통 3상교류의 송배전에 사용하는 전기방식으로 송전전력은 역률 1인 때


▶상반의정리[相反의定理] (Reciprocity theorem)

임의 회로망에서 α번의 망목(網目)에 E되는 전압을 가했을 때 β번의 망목에 흐르는 전류와 β번에 같은 전압 E를 가했을 때 α번의 망목에 흘리는 전류는 상등하다고 하는 정리.


▶상반필터[相反필터] (Antimetrisch filter)(獨)

2개의 영상 impedance의 적이 정수가 되려는 사단자망.


▶상자성체[常磁性體] (Paraamagnetic material)

철, cobalt, Nickel등과 같이 투자율이 1보다 큰 것. 정자성체라고도 말한다. 자성체의 항 참조.


▶상호변조[相互變調] (Intermodulation)

비직선특성(非直線特性)의 것에 주파수가 다른 것이 가하여지면 기본파, 고조파의 화(和) 및 차(差)의 주파수가 생기는 것.


▶상호콘덕턴스[相互콘덕턴스] (Mutual conductance)

진공관의 그리드전압 1V의 변화에 상당하는 플레이트 전류의 변화, 즉 진공관의 증폭정수 P와 진공관의 내부저항 P와의 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호콘덕턴스를 gm라고 하면

로써 나타난다. 상호콘덕턴스가 큰 진공관은 증폭 또는 검파에 사용하면 좋다.


▶색온도[色溫度] (Color temperature)

하나의 색감각을 주는 빛의 파장 조성은 무수히 있으나 어느 광원의 색온도란 그것과 같은 색의 방사를 하는 흙체의 온도를 말한다.


▶서어지[Surge] [Surging]

전기회로에 있어서의 급격한 전압 또는 전류의 증가를 말한다. 예를들면 전력송전선(電力送電線) 등에 벼락이 떨어졌을 때, 혹은 급격한 합선이나 단선이 되었을 때에 서어지가 일어난다. 흔들려 움직이는 것. 전압이나 전류라든가 규정인 값을 보지하지 않는 것. 우레의 유도 등에 의해 송전선의 우레 Surge등이 있다.


▶석면[石綿] (Asbestos)

화성암이 변화한 것으로 섬유상태(纖維狀態)이다. 습기를 흡수하기 쉬우므로 전기적 성질은 좋지 못하나 내열성이 크므로 내열, 내화의 절연재료로 사용한다.


▶석영유리[石英유리] (Quartz glass)

수정 또는 형사를 1400∼1800℃까지 가열하여 융해한 것으로서 자외선을 잘 통하여 고온에서도 절연력이 큰 특징이 있다.


▶선간전압[線間電壓] (Line voltage)

선로전압이라 말하며 특히 3상교류회로의 성형 또는 3각결선의 각단자로 측정한 전압 즉 선간의 전압이란 말.


▶선간전압강하[線間電壓降下] (Line drop)

송전선에서 선로가 갖는 저항 때문에 일어나는 전압강하.


▶선로개폐기[線路開閉器] (Line switch)

A형의 자동전화교환기의 25의 출중계속을 가진 회전Switch 가입자가 수화기를 떼면 시동하여 일차실렉터(selector)의 빈 것을 생각하여 일단 동작하면 통화가 끝이나도 그 위치에 그쳐(정지하여) 다음의 호출로 그 위치에서 시동한다.


▶선로정수[線路定數] (Line constant)

1차정수와 2차정수가 있으나 1차정수는 선로의 단위길이당의 분포 inducdance L, 용량 C, 저항 R, 리칸스(Leakance) G를 말한다. 2차정수는 특성 impedance 감쇠정수 및 위상정수를 말한다.


▶선택가열[選擇加熱] (Selective heating)

전기정수가 다른 물질에 섞여있을 때 특정의 고주파전계를 가하면 그중 특별한 물질만을 가열하게 된다.


▶선팽창계수[線膨脹係數]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전선의 길이가 온도에 따라 신축하는 율로 t0°인? L0의 길이인 어떤 것이 t°로 되었을 때의 길이 L는 L=L0+β(t-t0)L0로 표시되며, β를 「선팽창계수」라 한다.


▶성형결선[星形結船] (Stat connection)

Y결선이라고도 하는데, 3상의전로(변압기권선, 발전기권선)의 결선방식인데 3개의 임피이던스(impedance)에 유기되는 전압을 성형전압이라 한다.


▶세류충전[細流充電] (Trickle charge)

소각충전(小刻充電) 또는 Trickle 충전이라고도 부른다. 계속적인 미량의 방전.


▶섹터[Sector]

전기철도의 연동장치에 사용되는 전기쇄정방식에 있어서 양인(兩引)전기지렛대로서 지렛대에 직결되어 움직이는 부분이며, 절결(切缺)이 있어 여기를 쇠정전자석의 쇄정자가 쇄정하도록 되어 있다.


▶소켓[Socket] (Lamp holder; Tube socket)

전선의 끝에 붙여서 전구를 끼워 전류를 잇는데 쓰는 전기기구의 하나. 수구(受口)의 일종으로 전구수구라고도 부르며 전구를 낄 수 있는 구로 나사 입형(?形)으로 되어 있는 에디슨(edison) 소켓(socket) Edison 차입형으로 되어있는 스완(swan)형 Key가 붙어있는 Key socket, Key가 없는 Key less socket 등이 있다.


▶소형전구[小形電球] (Miniature lamp)

100V 이하인 전압으로 사용하는 소형의 전구.


▶소형전동기[小形電動機] (Small type motor

보통 1HP 이하인 작은 전동기로 주로 단상에서 전등선으로 사용하는 것이 많다. 반발전동기, 분상전동기 등 각종이 있다.


▶소호리액터[消弧리액터] (Arc-suppressing Reactor)

송전선에서 일선지락시의 접지를 소호하고 정전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성점접지용 reactor.


▶속응여자[速應勵磁] (Quick response excitation)

송전선의 고장시에 내휴의 동기화력을 증가하여 안정한 송전형태를 계속시키기 위해 전자기의 전압확립도를 높이는데 주어 자기에 계자전용의 부여자기를 부치기도 하고 계자 coil을 병렬로 잇거나 하는 것. 이 여자법의 전압상승속도는 400∼600V/s정도로 보통의 10배 전후.


▶손실계수[損失係數] (Loss tactor)

유전체의 유전율과 유전체률과의 적을 손실계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종류, 성질, 상태, 주파수, 온도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


▶송전[送電]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발전소에서 전력수용지역에 전력을 보내는 것.


▶송전단[送電端] (Sending end )

급전선의 전단 또는 송신장치를 접속하는 측을 말한다. 수전단 또 수신단의 반대말.


▶송전선[送電線] Transmission line

전력을 보내는 선으로 송전선로의 항 참조.


▶송전선로[送電線路] (Transmitting line)

발전소 또는 변전소 상호간 또는 발전소와 변전소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력공급용의 전선로를 말한다.


▶송전효과[送電?果] (Transmission efficiency)

수전력과 송전전력의 비의 100분율로 설계 항장부하 등에 의해 달라지나 대개 85∼95%정도이다.


▶쇼트키효과[쇼트키?果] (Schottky effect)

진공관의 열음극으로부터 발하는 방선전자는 초기의 생각에 의하면 음극의 온도에 따라 정하여진 포화치를 가지고 플레이트 전압을 높여도 그 포화치 이상이 되지 않으나 실제는 플레이트전압을 높이면 플레이트전류가 다소 증가하게 된다. 즉 포화치가 약간 많아진다 이것을 쇼트키가 발견했으며 그는 이 현실을 플레이트로부터 전계가 음극면에 미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실험의 결과와 일치하는 이론을 세웠다. 이 현상을 쇼트키효과라고 한다.


▶수구[受口] (Socket)

전구나 진공관에 전기를 공급하는 구(口)로 소켓트란 말. 동항 참조


▶수신기[受信機] (Receiving set; Receiver)

① 수신을 하는 장치로 방송무선의 수신기, ② 일반적으로 무선전신 또는 무선전화를 수신하는 장치를 수신기라 한다.


▶수용율[需用率] (Demand factor)

어느 부하의 최대전력을 취부전력으로 나눈 백분율을 말한다. 이것을 측정하는데 날을 기간으로 하는 것. 월년을 기간으로 하는 것 등 기간에 의해 여러 종류로 다르다.


▶수은등[水銀燈] (Mercury arc lamp)

수은을 전극으로 하고 이것을 고도로 배기된 유리관내에 넣은 arc등의 일종으로 사진소부(寫眞燒付), 공장과 광장의 조명등에 사용하고 있다.

페이지 상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