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고객지원 > 불편한진실 |
 |
|
 |
 |
낙뢰만 치면 고장이 나서 골칫거리인 제품의 특징 |
※국민의 귀중한 혈세가 손실되는 것을 막고, 관리자와 담당자의 행정력 낭비를 막고자 작성함.
Ⅰ. 낙뢰만 치면 고장 나서 골칫거리인 제품의 대부분은 접지를 연결할 수 없게 접지단자가 없다.
Ⅱ. 별도로 독립접지를 하는 제품과, 제품에 접지단자가 있지만 접지연결을 못하게 한다.
Ⅲ. 제품 자체의 서지대책이 전혀 없는 제품이거나, 서지 또는 耐전압 시험 성적서가 없다.
Ⅳ. 공인기관의 인증기준에 적합하지 않고, 정품이 아니다.
Ⅴ. 제품 자체의 품질보증(A/S)기간이 경과되었거나 해당 제품이 단종된 경우가 많다.
Ⅵ. 고장 등으로 인하여 동일 부품(UNIT)이 2회 이상 수리된 이력이 있고, 내구연한이 경과되었다.
Ⅶ. 외장 케이스가 플라스틱(절연체)으로 된 경우가 많다.
Ⅷ. 제품의 과도한 밀봉으로 내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제품을 열어 볼 경우에는 A/S책임을 없다.
|
골칫거리 해결대책 및 방안 |
※국민의 귀중한 혈세가 손실되는 것을 막고, 관리자와 담당자의 행정력 낭비를 막고자 작성함.
첫째, 사용자의 제품구매 요구사양(ROC)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1)접지를 연결하는 별도의 접지단자가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2)공통접지(TN방식)방식으로 접지회로가 구성(제조)된 제품이어야 한다.
3)서지/보호등급별 보호전압(6㎸~1.5㎸/1.25/5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제품이어야 한다.
*전원용 SPD의 클램핑 전압은 보통 1.5㎸ 이상 이다.
4)TN-C가 설치된 경우는 서지 보호전압 1㎸(1.25/50㎲)에서 정상동작 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TN-C공통접지장치의 클램핑 전압은 보통 0.9㎸ 이하 임.
둘째, 공통접지(TN)/등전위시스템을 구축(구성)한다.
1)개정된 KS C-IEC 60364, 61643, 62305에 적합한 공통접지/등전위시스템을 구축한다.
2)누전차단기(ELB)가 설치된 경우에는, TN-C공통접지장치로 공통접지(TN방식)를 구축한다.
3)등전위의 기준은 0.2V~0.5V 이하로 한다. 단, TN-C공통접지장치는 0.05V 이하로 한다.
셋째, 전원선, 통신선 뿐이 아닌 접지선과 땅으로 유입되는 유도뢰 대책을 한다.
1)전원선으로 유입되는 서지(17%)와 땅으로 유도되는 서지(83%)에 대한 대책으로 eca3G를 설치한다.
2)전원선과 대지(접지)간의 전위차(서지)가 발생되어 유도(유입)되는 서지대책은 eca3G로 한다.
3)전원선과 대지간의 서지시험에서 0.9㎸이하로 감쇄시키는 TNC공통접지장치를 설치한다.
|
낙뢰만 치면 고장이 나서 골칫거리인 제품의 사례 |
※국민의 귀중한 혈세가 손실되는 것을 막고, 관리자와 담당자의 행정력 낭비를 막고자 작성함.
☞ 접지가 없는 수위계 [Click]
☞ 접지가 없는 압력계 [Click]
☞ 접지가 연결 안된 유량계 [Click]
☞ 케이스에 접지가 연결 안된 유속계 [Click]
★[Click]하시면 해당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
 |
|
 |